논문작성양식
1.원고작성
-
1) 투고할 논문은 한글 문서로 작성하여, 투고신청서, KCI 유사도 검사결과(상세보기)와 함께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JAMS)에 탑재한다.
- (1) 투고신청서는 온라인 투고시스템의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2) KCI 유사도 검사 결과 20% 이하의 점수를 받아야 투고가 가능하다.
- 2)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어 또는 문장 다음에 한자, 영어 또는 다른 원어를 ( )속에 원어를 써넣는다.
- 3) 논문내용에 대한 「국문초록」을 논문 제목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
- 4) 원고분량: 본 학회 게재논문 작성양식에 따라 작성하였을 때, A4 25쪽 이내(참고문헌, 초록 포함)를 원칙으로 한다.
2.제목의 번호 붙임
1단계:Ⅰ, Ⅱ, Ⅲ …
2단계:1, 2, 3 …
3단계:1), 2), 3) …
4단계 : (1), (2), (3) ...
5단계 : ①, ②, ③ ...
3.인용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부분의 아래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왼쪽여백 26.6pt, 오른쪽 여백 20pt, 굴림체 8.5pt를 적용한다.
4.본문 내의 인용 문헌
-
1) 원문을 그대로 가져와서 인용하는 직접인용의 경우, 저자와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
⦁ 홍길동(2007: 25)은… ‘~~~~’라고 표현하였는데,
(* 이는 직접 인용 시, 2007년도 문헌의 25페이지를 의미함)
-
⦁ 홍길동(2007: 25)은… ‘~~~~’라고 표현하였는데,
-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은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가른다.
- >
- ⦁ 최근의 연구(유관순, 2004; 홍길동, 김구, 2005)에 의하면 …
-
⦁ 최근의 연구(유관순, 2004, 2006)에 의하면 …
(* 하나의 문장에 동일저자의 연구물을 다수 인용할 경우)
-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아래와 같이 명시한다.
본문 내 첫 인용 본문 내 두 번째 인용 이후 괄호 형태 본문 첫 인용 괄호 형태 본문 두 번째 인용 이후 1~2인 저자물 김진주와 조민지(2004) (김진주, 조민지, 2004) 3~5인 저자물 Ginsburg, Golbeck와 Eric(2004) Ginsburg 등(2004) (Ginsburg, Golbeck, & Eric, 2004) (Ginsburg et al., 2004) 6인 이상 저자물 홍길동 등(2006) (홍길동 외, 2006)
(*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본문 중에 쓸 때 콤마(,)로 연결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와(과)’ 로 연결함) -
4) 저자가 기관 또는 단체인 경우 본문에 처음 인용될 때에는 완전한 기관명 또는 단체명으로 표기하며 이후부터 축약어로 표기 가능하다.
본문 내 첫 인용 본문 내 두 번째 인용 이후 괄호 형태 본문 첫 인용 괄호 형태 본문 두 번째 인용 이후 기관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NIMH, 2003) NIMH(2003)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3) (NIMH, 2003) -
5) 재인용을 한 경우, 원저자와 재인용 문헌의 저자를 모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나, 원저자의 연구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는 재인용 문헌의 저자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명시한다.
- ⦁ 유아의 … 탐구 능력은 …에 따라 달라지는데(Aril, 2000: 홍길동, 2005, 재인용)
- ⦁ Humbolt는 언어에 대하여 …임을 주장하였으며(홍길동, 2009, 재인용)
5. 참고문헌 작성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韓.中.日.西.洋書 순으로 열거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참고문헌 작성법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양식을 따른다. 한글과 로마자를 제외한 타언어는 한글이나 영어를 병행표기한다.
-
1) 단행본의 경우
- ⦁ 지성애 (2001). 유아놀이 지도. 파주: 정민사. (도시명으로 기재함)
-
⦁ Berlyne, D. (197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NY: McGrawhill.
(* 미국 출판사는 도시명뿐만 아니라 ‘주’를 약자로 함께 명시한다.)
(* 이외 국가는 도시명과 국가 이름을 함께 명시한다.)
-
2)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
- ⦁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 반드시 권(호수),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 ⦁ 김선희, 윤재희 (202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에 관한 인식과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24(2), 325-355. https://doi.org/10.32349/ECERR.2020.4.24.2.325 (* DOI가 부여된 문헌의 경우 DOI 기재)
- ⦁ Day, D. E., & Sheelhan, R. (1974). Elements of a better school. Young Children, 30(1), 1523.
-
⦁ Schaefer, E. S. (1991). Goals for parent and future-parent education: Research on parental beliefs and behavior.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1(3), 239-248. https://doi.org/10.1086/461651
(* 논문의 제목은 첫글자만 대문자, 학회지명은 단어의 첫글자마다 대문자로, DOI가 부여된 문헌의 경우 DOI 기재)
-
3) 학위논문의 경우
- ⦁ 이기현 (1974).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어린이의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석사학위청구논문 X)
- ⦁ 박소영 (2014). 잎새 어린이집 교사의 액션러닝 기반 학습공동체 참여경험과 그 의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Harris-Barret, S. (2005). Variables that influence parents and teache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goals and objectives for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Master's thesi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
⦁ Eisenberg, N. (1977).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moral judgment and its correlate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미국 대학의 경우 도시명뿐만 아니라 ‘주’를 약자로 함께 명시한다. 단, 대학명에 주 또는 지방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소재지에 반복하여 작성하지 않는다.)
(* 이외 국가는 도시명과 국가 이름을 함께 명시한다.)
-
4) 보고서의 경우
- ⦁ 김은영, 최은영, 조혜주 (2011). 2011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연구보고 2011-2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3). Managing asthma: A guide for schools(NIH Publication No. 02-2650). Washington, DC: GPO.
(* 연구보고 번호를 괄호 안에 명시한다.)
-
5) 웹상의 자료를 가져온 경우
- ⦁ e-나라지표 (2015). 공무원 보수 추이. http://www.index.go.kr에서 2015년 10월 5일 인출.
-
⦁ Grotberg, E. H. (1997). The international resilience project.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Psychologists Conference, Graz, Austria. Retrieved March 19, 2004, from http://resilnet.uiuc.edu/library/ groy98a.html.
(* 자료의 인출일자를 기재한다.)
-
6) 신문자료의 경우
- ⦁ 이성주 (2000. 10. 24). 엄마 사랑이 최고 치료약. 유아일보, p. 6.
-
⦁ Schwartz, J. (1993, September 30). Obesity affects economic, social status. The Washington Post, pp. B5-B7.
(* 보도일자(연, 월, 일)를 저자명 다음 괄호 안에 기재한다.)
-
7) 번역서의 경우
-
⦁ Egan, K. (2014). 상상력 교육: 미래의 학교를 디자인하다 [The future of education: Reimagining our schools from the ground up]. (김회용, 곽덕주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 2008년 출판)
(* 번역서 제목, 원전 제목, 번역자, 출판사, 원전 출판연도를 기재한다.)
-
⦁ Egan, K. (2014). 상상력 교육: 미래의 학교를 디자인하다 [The future of education: Reimagining our schools from the ground up]. (김회용, 곽덕주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 2008년 출판)
-
8) 학술대회 자료집의 경우
-
⦁ 이부미 (2015). 다문화 가정 어머니(부모)들의 목소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13-216.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발표자료 제목, 학회명, 연도, 자료집명, 페이지, 도시명: 장소를 기재한다.)
-
⦁ 이부미 (2015). 다문화 가정 어머니(부모)들의 목소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13-216.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9) 정식으로 출판되지 않은 학술대회 발표자료의 경우
-
⦁ Grusec, J. E., & Pedersen, J. (1989, April). Children's thinking about prosocial and moral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KS.
(* 저자, 발표 연도, 월, 발표자료 제목, 학술대회명, 지역, 장소를 기재한다.)
-
⦁ Grusec, J. E., & Pedersen, J. (1989, April). Children's thinking about prosocial and moral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KS.
-
10) 편집인이 있는 handbook의 경우
-
⦁ Colaizzi. F.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R. S. Valle, & M. 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48-7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저자, 해당 파트 제목, 편집인, 도서명, 페이지, 지역: 출판사를 기재한다.)
-
⦁ Colaizzi. F.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R. S. Valle, & M. 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48-7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 참고문헌 작성 시 유의사항 *
- ① 국문 책명 및 정기간행물 권(호)수 기재는 고딕체로 함
- ② 영문 책명 및 정기간행물 권수 기재는 이탤릭체로 함
-
③ 영문 논문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씀
(단행본의 경우도 동일)
단, 정기간행물명은 각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함 - ④ 학위논문과 같이 미간행인 경우, 논문 제목은 명조체(영문 포함)로 함
- ⑤ 국내 저자가 여러 명인 경우 컴마(,)로 연결
- ⑥ 국외 저자가 여러 명인 경우 컴마(,)와 &로 연결
- ⑦ 저자가 8인 이상인 경우 앞의 6저자까지 표기 후 쉼표와 생략점 세 개(...) 표기하고 마지막 저자명 표기
- ⑧ 저자명이 위와 동일한 경우는 밑줄로 표기
6. 표와 그림
-
1)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 >와 [ ]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예> <표 1> [그림 1]
단 본문 내에서 기술할 경우에는 “표 1에서와 같이”, “그림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등으로 괄호 없이 기술한다. - 2) 표의 제목은 상단 가운데에, 그림의 제목은 하단 가운데에 작성한다.
- 3) 표 및 그림은 원본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 4) 통계결과표를 작성할 때, 모든 통계치는 이탤릭체로 표시하며 유의수준은 표 하단의 왼편에 제시한다.
7. 영문초록, 국문초록
- 1) 영문초록 : 10행 이상 20행 이하
- 2) 국문초록 : 8행 이상 15행 이하
8. 구체적인 작성양식은 「논문 작성 예시」를 따른다.